Cohesity & Veritas Tech/Veritas

(Veritas NetBackup) 용량 기반 라이선스(Capacity Licensing) 모델

kevin82 2025. 3. 9. 20:57
반응형

Veritas NetBackup은 유연한 라이선스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용량(Capacity) 기반 라이선스 모델을 지원합니다.
이를 통해 기업은 백업되는 데이터 용량(TB 단위)에 따라 라이선스를 구매할 수 있으며, 백업 대상의 종류(서버, VM, DB 등)에 관계없이 유연하게 사용 가능합니다.


🔹 상세 설명: NetBackup의 용량 기반 라이선스(Capacity Licensing) 모델

1) 용량 기반 라이선스(Capacity Licensing) 개념

기본 원칙

  • 백업 대상(서버, VM, 데이터베이스 등)의 개수와 관계없이 백업되는 총 데이터 용량(TB 단위) 에 따라 라이선스를 적용
  • 다양한 IT 환경(온프레미스, 가상화, 클라우드 등)에서 하나의 라이선스로 모든 백업 대상 보호 가능

용량 산정 방식

  • NetBackup에서 초기 Full 백업 후, 증분 백업 수행 시에도 전체 백업 데이터의 용량(TB 기준) 에 따라 라이선스를 소비
  • 중복 제거(Deduplication), 압축 기능을 활용하여 실제 저장되는 용량을 최적화 가능

2) NetBackup 용량 기반 라이선스 모델의 장점

유연성(Flexibility)

  • 물리 서버, 가상 환경, 클라우드 백업 등 다양한 환경을 하나의 라이선스로 보호 가능
  • 기존의 에이전트(Agent) 기반 라이선스 모델 대비 단순하고 직관적인 운영 가능

비용 절감(Cost Efficiency)

  • 백업 대상 수와 관계없이 데이터 볼륨 기준으로 과금되므로 비용 최적화 가능
  • 단일 라이선스로 운영 가능하여, 개별 워크로드별 라이선스 구매 부담 감소

운영 편의성(Simplified Management)

  • 서버, VM, DB, NAS 등 여러 백업 대상에 대해 라이선스 일괄 적용 가능
  • 별도의 개별 라이선스 관리 없이 총 사용 용량(TB)만 관리하면 됨

확장성(Scalability)

  • 데이터 증가 시, 추가 용량만 구매하여 확장 가능
  •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 (예: AWS, Azure, Google Cloud 백업 지원)

3) 용량 기반 라이선스 적용 사례

중소기업(SMB) 환경

  • 백업할 서버 수는 적지만, 향후 데이터 증가 가능성이 높은 경우
  • 용량 기반으로 점진적인 확장 가능

대규모 엔터프라이즈 환경

  • 수백~수천 개의 서버 및 가상화 환경을 운영하는 기업
  • 백업 대상이 많아도 단일 라이선스로 관리 가능

클라우드 및 MSP(Managed Service Provider) 환경

  • 클라우드 백업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가 고객 데이터 보호 시 활용 가능
  • 고객별 백업 용량을 기반으로 라이선스 적용 가능

🔹 결론

Veritas NetBackup은 용량 기반 라이선스(Capacity Licensing) 모델을 제공하며, 데이터 용량(TB 단위)에 따라 유연한 라이선스 정책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.
이를 통해 물리 서버, 가상화, 클라우드 백업을 단일 라이선스로 보호할 수 있으며, 비용 절감 및 운영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